IT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3월 4주차] 4차 산업혁명 훑어보기(2) 지난 주에 이어 교육 중 4-8차시에 해당하는 내용을 정리해보려 한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 교육을 통해 개념을 확실히 다지는 것 같아 도움이 된다 :) 물론 꾸준히 포스팅을 통해 공부를 해오고 있었기에 이해도 더 쉽고 어렵지 않았던 것도 있었다. [4]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개념 최초 제안자는 1999년 케빈 애쉬톤(Kevin Ashton)으로, 그는 센서에 관심이 많았고, 또 컴퓨팅 기능이 없는 사물에 컴퓨터 기능을 탑재하는 것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 두 단어를 연결시켜 ‘사물 인터넷’이라는 말을 만들었다고 한다. ✔ 사물인터넷 정의 - 좁은 의미: 사물들이 단순히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 - 넓은 의미: 사물이나 디바이스가 인터넷에 단순 .. [3월 3주차] 4차 산업혁명 훑어보기(1)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교육을 듣게 됐다. 내용이 너무 무겁지 않고, 4차 산업혁명과 Digital Transformation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훑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이를 정리하여 포스팅하고자 한다 📜 오늘도 바로 시-작 [1] 4차 산업혁명의 등장 우리는 지금 AI가 면접을 진행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나만 해도, 취업 준비를 하면서 AI 면접을 본 적이 있다. 대면 면접을 준비하기에도 바쁜데 무슨 AI 면접까지 준비해야 해···? 싶었지만 채용자의 입장은 또 다르다. 공평한 기회 VS. 비인간적인 접근? 대기업의 인사담당자는 '우리가 100명을 뽑는다고 치면, 지원자는 만 명이예요'. 그 인원들을 모두 면접을 보기 힘드니 공평한 기회를 주기 위해 AI 면접을 제공하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반면 취준.. [3월 2주차] API의 개념 많이 들어 본 API. 대충 뭐의 약자인지도 안다.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근데 ‘구체적으로 이 개념에 대해서 설명해봐’ 하면 우물쭈물할 게 뻔하다. 심지어 내가 코드 짤 때 카카오맵 API를 써봤으면서도..! 그래서 이번 기회에 정리하고자 한다. API의 정의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는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이다. 일종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이며 다른 종류의 소프트웨어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인터페이스(interface)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시스템,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는 경우의 접점이나 경계면. 즉, 사용자가 기기를 쉽게 동작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시스템.. [2월 4주차] 마이데이터, 핫하다며? (feat. SKT, KT, LGU+) 마이데이터, 🔥핫한🔥키워드다. 오늘은 IT 뉴스를 보다, 이동통신사도 마이데이터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금융위원회로부터의 허가를 기다리고 있다는 기사를 접해서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이통3사의 내용을 전달하기 전, 마이데이터에 대한 설명을 간략히 하고 넘어가자면 - 이전에는 개인 금융 데이터가 악용되지 않고 안전하게 활용되도록 보호장치를 제공해왔다. 하지만 너무 보호에만 치중한 나머지 데이터 활용도는 낮을 수밖에 없었다. 각 금융기관이 서로 가진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으면서, 소비자는 각 금융사에 흩어진 정보를 한 곳에 모아보기 어려웠다. 당연히 금융 상품을 효율적으로 비교하기도 어려웠고, 저렴한 금리로 신용대출을 받기 위해 직접 은행에 방문하는 등 발품을 팔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했다. 2019년.. [2월 3주차] 바스로 블록체인 서비스를 만들어 보세요. 정보처리기사를 공부했을 때 IaaS, PaaS, SaaS 와 같은 용어들을 접했었는데, BaaS라는 용어는 본 적이 없었는데 생겼길래 궁금해서 서치해봤다. 그랬더니 웬걸, BaaS가 의미하는 바가 생각보다 여러 개여서 당황했다. -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 (BaaS; Blockchain as a Service): 퍼블릭 블록체인 위에 각 기업별, 기관별, 서비스별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 백엔드 서비스 (BaaS; Backend as a Service): 모바일 앱에 특화된 백엔드 플랫폼을 아웃소싱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서비스형 뱅킹 (BaaS; Banking as a Service): 은행들이 제3자(핀테크 등 비 은행기관)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 [2월 2주차] 현실세계와 쌍둥이, 디지털 트윈 지난 주 디지털 뉴딜을 알아보면서, 나한테 낯선 개념이지만 단어 자체는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은 디지털 트윈에 대해서도 궁금증이 생겨 다음 주제다!! 싶어 선정. 사설 없이 바로 시작~ 디지털 트윈의 정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기술이다. 요즘 현실세계와 똑 같은 가상의 세계인 이 디지털 트윈이 디지털 전환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와는 ‘거울 세계’라는 개념적 특징은 유사하지만, 구현 기술 및 활용의 측면에서 엄연히 구별된다. 디지털 트윈과 메타버스의 차이 메타버스는 가상세계와 현실세계가 융합된 플랫폼으로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2월 1주차] 한국의 디지털 뉴딜 IT 관련 포스팅하면서 관련 기사들을 찾다 보면, '디지털 뉴딜 정책' 키워드를 많이 볼 수 있었다. 그냥 정부 주도 하에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책 수립인가 보다, 하고 넘어갔는데 아무래도 한국 IT의 미래 방향성을 보려면 가볍게 무시할 수 없어서 자세히 알아보았다. 알아보니 생각보다 큰 프로젝트이고 세계 디지털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투자도 빵빵하게 하고 있었다. 한 번 같이 알아볼까요 📜 디지털 뉴딜의 정의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D(Data). N(Network). A(A.I) 기반의 대한민국 회복 전략.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소비, 원격근무 등 비대면화가 확산되어 “디지털 역량“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부각됨에 따라 우리의 강점인 ICT를 전 산업분야에 융.. [1월 4주차] 모바일 운전면허증, DID 기술 27일부터 지갑 속에 가지고 다니던 운전면허증을 스마트폰에 앱 형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까지 학교나 기업, 혹은 공무원 대상으로 한 모바일 신분증은 있었지만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분증이 상용화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은 현행 플라스틱 운전면허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갖는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27일부터 시범 발급한다고 밝혔다. 플라스틱 신분증의 소지 불편, 위변조 용이, 내구성 취약 및 개인 정보 노출 등의 문제점이 지속 제기됨에 따라, 디지털 정부 혁신의 핵심과제로 모바일 신분증 도입을 추진해왔다. 시범 발급 기관 기간에는 서울 서부 운전면허시험장, 대전 운전면허시험장과 해당 시험장과 연계된 경찰서 민원실에서 발급이 가능하다. 약 6개월의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