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1월 3주차] 빠른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AI 커맨드 센터 인공지능, AI는 이제 생소하고 낯선 단어가 아니다. 빅데이터와 더불어 'HOT'한 키워드 중 하나인 AI는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 능력, 지각 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려는 컴퓨터과학의 세부 분야 중 하나이다. 오늘날 홍수처럼 쏟아져 나오는 데이터양은 인간이 흡수하고 해석하여 의사결정을 하기에 너무 방대하다. 따라서 이를 도와주는 인공지능은 모든 컴퓨터 학습의 기초이자, 복잡한 의사결정의 미래라고 볼 수 있다. 컴퓨터는 조합과 순열을 계산하여 최상의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정말 효율적이기 때문에. AI는 금융 서비스 사기 탐지, 소매업의 구매 예측, 온라인 고객 지원 상호 작용과 같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고 사례로 존재한다. 그중 오늘은 병원 솔루션인, AI Command Center를 얘기해 .. [1월 2주차] 종이 없는 세상에 한 걸음 더, ESL '종이'가 필요 없어지는 시대, Paperless 시대는 현재 진행 중이다. 정보통신산업을 기반으로 경제활동이 이뤄지면서 기록 매체를 문서 대신 디지털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오피스는 물론이고, 일상에서도 사라지고 있는 종이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중 하나를 소개해 보려고 한다 ! 바로 ESL(Electroni Shelf Label). 한국어로는 전자가격표시기이다. ESL란? 전자가격표시기(ESL)는 스마트시티 분야에 속하는 기술로, 소매업체가 선반에 제품 가격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의미한다. 전자가격표시기(ESL)는 소매점에서 제품의 동적 가격 책정을 가능하게 하고 고객에게 향상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매 자동화 솔루션. 전자가격표시기는 중앙 집중식 또는 수동식.. [1월 1주차] RFID 기술과 간호업무지원 솔루션 1월부터 지각이라니, 머쓱하지만 한 주가 다 지나가기 전에 올리고자..! 병원 내 활용되고 있는 솔루션을 공부하면서 이번에는 RFID 기술을 공부했다. RFID는 NFC나 QR코드 등에 비해 덜 익숙해서 많이 사용되나? 했는데 생각보다 우리 곁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한 번 자세히 들여다 볼까요 🔍 RFID의 정의 RFID는 QR코드, 바코드, 그리고 지문 인식과 같은 자동 식별 및 데이터 캡처 시스템(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AIDC)의 한 분류이다.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약자로, 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일명 전자태그로 불린다. RFID 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 [12월 4주차] 인터넷에서 '나'를 인증하는 방법 비대면, 익명의 세상인 인터넷에서 내가 나라는 걸 어떻게 인증할까. 알다시피 우리에겐 본인인증 확인 제도가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Active X 깔고 공인인증서를 사용했었는데, 이제는 간편 인증이 가능해져서 문자 인증이나 계좌 인증, PIN 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 등 훨씬 쉽고 간단하게 본인임을 증명할 수 있게 되었다. 언제부터 어떻게 이런 변화가 생겼는지 알아보고자, 이번 주 주제는 디지털 인증서와 그 원리, 암호기술로 정했다. 가볍게 암호기술을 훑고, 그 기술 중 하나를 사용한 디지털 인증서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시작해 볼까요 - Ⅰ. 암호기술 암호기술의 정의 중요한 정보를 읽기 어려운 값으로 변환하여 제3자가 볼 수 없도록 하는 기술. 암호기술의 안전성은 수학적인 원리에 기반하며.. [12월 3주차] 이동통신 파헤치기 이번주는 이동통신의 역사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고자 한다. 사실 5G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선정했던 건데, 그러려면 이전 세대부터 얘기를 할 수밖에 없다보니, 먼저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5G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나중에(...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이전에 공부했던 메타버스나 블록체인, AI 등은 모두 5G가 나오면서부터 붐이 일어나기 시작한 거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주고받아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저런 것들을 가능하게 한 하드웨어적인 부분도 알 필요가 있어보여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5G의 'G'는 Generation에서 따온 거다. 여지껏 Gbyte인줄...^^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해볼까요. 1세대 이동통신 1세대 이동통신은 음성통화만 가능한 아날로그 .. [12월 2주차] J는 오늘도 계획해, R&D 계획서 작성하기 이번주는 다른 일이 많아 주간이슈를 스킵하고 싶었으나.. 아쉬우니까, IT 이슈와는 거리가 조금 있지만 어제 들었던 R&D 연구개발계획서 교육 내용을 정리하려고 한다. * 본 내용은 경기지방중기청(김창훈 강사님)에서 진행한 강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자료는 필자가 따로 작성한 것임 회사(중소기업)에 기업부설연구소가 있다면 매년 4월 중에 연구개발 활동조사를 협회에 제출해야 인정이 유지되고, 이런 연구개발을 바탕으로 국가 사업을 따내야 하기 때문에 R&D 연구개발 계획서 작성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먼저 R&D 전주기의 개념을 알아보자.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연구를 기획하고, 사전 평가를 통해 제안이 성공되면 연구과제로 선정된다. 지속적인 중간평가를 거치면서 연구과제를 수행, 관리한 다.. [12월 1주차] PHR, 내 생체정보는 시계 안에 인터넷이 발달하고 유튜브에 양질의 컨텐츠들이 올라오면서, 일반인이 '직접' 자신의 건강이나 질병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소비자건강정보의 이용이 급속하게 전개되어 왔다. 병원이나 의료전문가를 통하지 않고 환자나 일반인이 직접 자신의 건강에 대한 예방이나 치료법 등을 탐색하는, 탈중개 현상이 일어나면서 배타적이고 전문적인 영역이라고 인식되었던 의료정보에 대한 관리는 감소되고, 건강정보의 소비자인 일반인들에 의한 건강정보의 이용행태에 변화가 일어났다. 대표적인 예로 소비자가 자신의 건강데이터를 웹이나 앱으로 기록, 관리하는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이하 PHR)의 이용이다. 쏟아져 나오는 어플들 속, 건강 어플 하나쯤 우리도 있잖아요? 기본 어플로 깔려있는 경우.. [11월 4주차] 음... 블록체인, NFT, 그리고 NCT 해밀씨 요즘 주된 관심사 뭐예요? 음.. 블록체인, NFT..? 그리고 NCT 저번 포스팅에서 예고했듯 이번 주간이슈는 블록체인이다. 사실 이번주는 정말 정말 기초만 정리했다고 볼 수 있다. 활용 사례는 너무 많고 이거 얘기하려면 저거 끌고 와야하고 그러다보니 너무 방대해질 것 같아서 그냥 개념만 잡는 걸로..(예. 핑계임) 블록체인, 핫해진지 꽤 됐지만 요즘은 'NFT' 키워드로 더 자주 접하고 있다. 뭐 때문에 이렇게 사람들이 열광하는지 알아보자. 1. 블록체인 - 블록체인 의 개념 블록체인(Block chain)은 P2P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소규모 데이터들이 체인 형태로 무수히 연결되어 형성된 ‘블록’이라는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관리 대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누구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