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를 공부했을 때 IaaS, PaaS, SaaS 와 같은 용어들을 접했었는데, BaaS라는 용어는 본 적이 없었는데 생겼길래 궁금해서 서치해봤다. 그랬더니 웬걸, BaaS가 의미하는 바가 생각보다 여러 개여서 당황했다.
-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 (BaaS; Blockchain as a Service): 퍼블릭 블록체인 위에 각 기업별, 기관별, 서비스별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 백엔드 서비스 (BaaS; Backend as a Service): 모바일 앱에 특화된 백엔드 플랫폼을 아웃소싱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서비스형 뱅킹 (BaaS; Banking as a Service): 은행들이 제3자(핀테크 등 비 은행기관)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개방하는 온디맨드(on-demand) 서비스
- 서비스형 배터리 (BaaS; Battery as a Service): 전기차 배터리 생산과 판매뿐만 아니라 수리·대여·재사용·재활용 등 배터리 생애 주기 전반을 포함한 사업 모델
다른 이름으로 써주지 어쩜 다 똑같이 써가지고 헷갈리게
아무튼 이 중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볼 건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BaaS의 정의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Blockchain Cloud Service) 또는 바스(BaaS)는 블록체인 개발 및 구축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필요한 기능을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BaaS의 유형
BaaS는 BSaaS와 BPaaS를 통칭한 것.
- BPaaS (Blockchain Platform as a Service): 클라우드 기반으로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 운영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시스템의 구성요소 (분산 네트워크(체인), 통신 프로토콜 등) 및 필요기능 (거래 정보 검증, 합의, 노드 관리 기능, 모니터링 등), 개발 플랫폼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 BSaaS (Blockchain Software as a Service):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IaaS와 BPaaS를 기반으로 개발, 서비스한 것으로 개인이나 기업은 이를 자사 시스템에 구축하지 않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이용
BaaS는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들을 위하여 요금제를 대가로 필요한 모든 블록체인 기술과 기반을 설치하여 모든 복잡한 백엔드를 관리하여 요금을 냄으로써, 클라이언트는 제공자가 설치하고 유지 관리하는 블록체인에서 자신을 대표하는 노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BaaS는 제공하는 서비스 유형과 종류에 따라 설치형 BaaS와 종합형 BaaS로 구분할 수 있다.
1) 설치형 BaaS
아마존 AWS 매니지드 블록체인, MS 애저 블록체인 서비스, IBM처럼 인프라 클라우드를 보유한 업체들이 이더리움이나 하이퍼레저 같은 오픈소스 블록체인을 보유한 클라우드 인프라에 손쉽게 설치, 운영할 수 있는 템플릿을 제공한다
2) 종합형 BaaS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 하에서 이더리움, 하이퍼레저, 베수, 쿼럼 등 다양한 블록체인을 설치, 운영하고 더불어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부가 기능과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국내 업체로는 람다256의 루니버스와 해외 업체로는 알키미(Alchemy), 셋틀민트(Settlemint), 칼레이도(Kaleido) 등이 있다. 이들 업체 중 IBM은 하이퍼레저만을 지원하며 루니버스, 칼레이도, 셋틀민트 등이 멀티 클라우드, 멀티체인을 지원하고 있다.
BaaS의 장점 및 효과
1) 전체적인 비용 절감 효과
블록체인 구현, 운영 및 유지 보수와 관련된 작업을 직접 수행하려면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지만, BaaS를 이용하면 기업은 개발자 모집, 인원 유지 및 팀 관리, 소프트웨어, 플랫폼 및 인프라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2) 사용하기 쉬운 도구를 통해 생산성 극대화
BaaS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자유롭게 지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블록체인 설치 템플릿을 제공하고, 편리한 스마트 컨트랙트 프로그래밍 환경과 보안 감사, 자동 API 생성 기능 등 편리한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개발자는 이를 통해 손쉽게 원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설치하고 개발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하고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BaaS는 설치된 블록체인과 응용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개발 후 효율적인 운영 또한 가능하다. 미리 작성된 템플릿과 GUI 환경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 덕분에 높은 생산성을 보장한다.
3) 노드 안정성•확장성 담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를 추가하고 제거하는 일을 단순화하였다.
4) 글로벌 가용성
클라우드 환경에서 세계 어떤 지역에서도 블록체인 제공이 가능해졌다.
5) 서비스 확산 및 해외시장 진출 용이
블록체인 기술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사전에 제거하여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 자체 개발 대비 BaaS 이용 시 개발 기간은 95%, 인프라 개발 비용은 85% 감소 (출처: KT 자체 자료)
BaaS의 시장 동향
시장 성장률
세계 BaaS 시장은 2019년 19억 달러에서 연 39.5%씩 성장하여 2027년 249억 달러까지 도달할 것으로 전망 (출처: 포춘비즈니스인사이트, 2020)
블록체인 기술에 클라우드 기술이 결합하면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분산은 블록체인과 클라우드 모두에 적용되는 키워드로, 현재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웹서비스와 같은 기업들은 자사 클라우드 플랫폼에 블록체인을 연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발주된 공공 블록체인 사업을 보면, 정부나 공공기관 등에서 해당 이해 당사자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프라이빗(폐쇄형) 블록체인 사업을 프라이빗 클라우드 형태의 인프라에서 추진하고 있다.
또한 딜로이트의 2019년 보고서에는 “향후 2년 이내에 당신의 조직/프로젝트와 블록체인 기술이 얼마나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53%의 기업 응답자가 “우선순위 Top5 안에 블록체인을 염두에 두고 있다"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블록체인의 투명성, 안정성, 신뢰 기반의 특징을 기반으로 기업의 기존 시스템 효율을 개선하고 신규 서비스를 출시함으로써 신사업 성장을 위한 발판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며,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높은 이유다.
해외 시장 동향
그렇지만 최근 MS는 애저 블록체인 서비스를 2021년 9월 10일 공식 중단하였고 IBM 또한 BaaS 사업부 인력을 줄이고 있는 상태이다. 블록체인 기술과 시장의 특징인 빠른 변화 속도를 따라잡기에는 MS, IBM과 같은 대기업의 문화상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있다.
- 중국 정부 주도형 서비스형 블록체인 모델 발표
중국은 정부 주도의 국가 서비스용 블록체인(BaaS)인 ‘BSN*’을 ‘20년 4월에 런칭하고 글로벌 서비스(8월)까지 개시 (* Blockchain-based Service Network, 이하 BSN)
시진핑 주석이 2019년 말에 블록체인 기술을 국가 우선순위로 삼겠다고 발표했고 이후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BSN)와 인민폐에 가치를 고정한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중국이 개발 중인 국가 블록체인 인프라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국내나 국외에서 기업이 접속하고, 개발하고 채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오픈소스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이다.
중국에서 BSN은 120여 개의 퍼블릭 시티 노드를 운영 중이며 현재 크고 작은 기업과 정부가 사용하고 있다. 국외에서는 이더리움, 폴카닷(Polkadot), 쿼럼(Quorum, JP모건이 개발해 현재 컨센시스에 합병됨), 언스트앤영(Ernst&Young) 등 소수의 선도적인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토콜 및 컨설팅 기업과 파트너십을 통해 확장해왔다.
국내 시장 동향
국내는 일부 대기업과 블록체인 전문기업에서 BaaS 사업을 진행 중이나 시장 확보 및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글로벌 기업에 비해 열세하다. KT(기가체인), 삼성SDS(넥스레져), LGCNS(모나체인) 등 대기업은 자체 메인넷에 기반한 BaaS를 구비 중이나 KT만 외부에 공개하고 나머지 기업은 자사 사업에만 활용하고 있다.
람다256, 블로코, 세종텔레콤, 비스퀘어랩 등 메인넷을 보유한 블록체인 전문 기업들은 BaaS사업을 추진 중이나 람다256 외에는 실증 사례가 부족하다.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X는 블록체인 메인넷인 ‘클레이튼’에서 누구나 손쉽게 DApp을 개발할 수 있는 KAS(Klaytn API Service)를 2020년 10월에 출시하였다. 그러나 2022년 1월 1일, 클레이튼은 싱가폴 신생 법인인 ‘크러스트(Krust)’ (이것도 카카오가 싱가포르에 세운 블록체인 자회사)으로 이관되면서 그라운드X는 NFT에만 집중한다고 밝혔다.
KT의 기가체인은 다양한 BaaS 플랫폼을 내놓았다. 기가체인 기반의
- 의료정보 확인 서비스 ‘스마트 병원 서비스’
- 할랄 식품 인증 시스템 ‘할랄 인증 트러스트’
- 에스오일이 전국 2500여 곳 주유소와 충전소 등과의 계약을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자계약시스템 등을 선보였다.
루니버스는 2021에 다음과 같은 리포트를 제공했다.
루니버스 기반으로 밀크, 아하, 직톡, 베리 등 총 1038개의 토큰이 발행됐으며, 그 중 107개의 토큰이 활성화됐다. 루니버스를 이용하는 기업 고객만 해도 2558곳에 달했다. 이처럼 루니버스 생태계가 확산되는 동안 체인 사고는 단 한 건도 일어나지 않았다.
시사점
BaaS는 창의적 아이디어를 갖춘 블록체인 기업이 손쉽고 빠르게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도와주는 블록체인의 핵심 인프라로, 전체 블록체인 시장의 60% 정도가 BaaS를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국가 주도로 블록체인 선진국으로 도약을 하고자 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중국과 달리 민간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만큼 BaaS 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그리고 블록체인 스타트업 등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국내 BaaS 기업은 자체 IaaS를 갖춘 KT 외에 아마존, MS 등의 IaaS에 의존하는 반쪽 BaaS로 그칠 우려가 큰 만큼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과 협력이 시급하다. 전문가들은 아마존 등 글로벌 대기업이 선점한 클라우드와 달리 서비스형 블록체인 영역에는 아직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지금부터 보다 집중적인 투자와 시장 선점에 집중하면 국내에서도 글로벌 수준의 BaaS 플랫폼 기업이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가 있다.
한편 정부에서도 BaaS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어, ‘블록체인 7대 사업분야’ 발표에서 과기정통부는 중소·창업기업의 손쉬운 사업 아이디어 구현을 돕는 서비스형 블록체인(BaaS) 활용 지원과 BaaS 플랫폼 기반 특화 분야를 발굴하겠단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앞으로 국내 기업들이 BaaS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참고 자료
유형준(2020.09), “블록체인 강국의 인프라 ‘서비스형 블록체인(BaaS)’”, 정보통신산업진흥원, NIPA 이슈리포트, 6.
박재현(2020.07), “블록체인 개발, 적용을 위한 핵심 엔진으로서 BaaS에 대한 고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월간 SW중심사회, 7.
블록체인 개발, 적용을 위한 핵심 엔진으로서 BaaS에 대한 고찰 - SPRi
현재 블록체인의 여러 문제점과 주요 동향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이자 대중화를 위한 기반 기술로서의 BaaS를 살펴본다.
spri.kr
이건한, “버스 말고 바스(BaaS), 서비스형 블록체인이 큰다”, BLOTER, 2020.07.25,
https://www.bloter.net/newsView/blt202007250001
이설영, “‘블록체인+클라우드’ BaaS 전성시대… 30조 시장 잡아라”, 파이낸셜뉴스, 2020.08.02,
https://www.fnnews.com/news/202008021638177229
Omer Ozden, “중국 정부의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BSN)’가 세계에 미칠 영향”, 2021.05.05,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3610
박현영, “카카오 블록체인 클레이튼, 싱가폴 법인으로 완전 이관…그라운드X는 ‘NFT만’”, 디지털데일리, 2022.01.02, http://m.ddaily.co.kr/m/m_article/?no=228542
함지현, “[UDC 2021] 박재현 람다256 대표, 루니버스 2.0 공개..."레그테크 솔루션 블록체인에 내장"”, 2021.09.01,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5067
해시넷,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 - 해시넷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BaaS)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Blockchain Cloud Service) 또는 바스(BaaS, Blockchain as a Service)란 퍼블릭 블록체인 위에서 기업별, 기관별, 서비스별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운영
wiki.hash.kr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2주차] API의 개념 (0) | 2022.03.12 |
---|---|
[2월 4주차] 마이데이터, 핫하다며? (feat. SKT, KT, LGU+) (0) | 2022.03.03 |
[2월 2주차] 현실세계와 쌍둥이, 디지털 트윈 (0) | 2022.03.02 |
[2월 1주차] 한국의 디지털 뉴딜 (0) | 2022.03.02 |
[1월 4주차] 모바일 운전면허증, DID 기술 (0) | 2022.03.02 |